2025년 8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
- 8월 정보통신산업 수출 228.7억 달러, 무역수지 103.4억 달러 흑자 기록 - 반도체 수출 사상 최고치 기록하여 ICT 수출 8월 기준 역대 최대 실적 달성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는 9월 15일, 8월 한 달간의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8월 ICT 수출은 228.7억 달러로 전년 동월(205.8억 달러) 대비 11.1% 증가하였으며, 수입은 125.3억 달러로 전년 동월(116.4억 달러) 대비 7.6% 증가했다. 그 결과 무역수지는 103.4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특히, 8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美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수출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역대 8월 수출 중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다.
* 반도체 역대 순위(억 달러) : 1위151.1('25.8월), 2위149.8('25.6월), 3위147.2('25.7월)
** ICT 역대 8월 순위(억 달러) : 1위228.7('25년), 2위205.8('24년), 3위202.3('21년)
※ ICT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208.7(9.6↑) → (6월)220.1(4.6↑) → (7월)221.9(14.5↑) → (8월)228.7(11.1↑)
8월 정보통신산업(ICT) 주요 품목별 수출 실적은 반도체(27.0%↑), 통신장비(1.8%↑)는 증가하였고, 디스플레이(△9.4%), 휴대폰(△15.4%), 컴퓨터·주변기기(△16.6%)는 감소하였다.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의 고정가격 상승과 AI 서버 등 인프라 투자 확대에 힘입은 메모리 수요 견조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였다. 통신장비는 미국·멕시코의 전장용 수요 호조로 수출이 증가하였다. 반면, 디스플레이는 TV, 모니터, 모바일 등 전방산업의 수요부진으로 수출이 감소하였으며, 휴대폰은 완제품의 신제품 수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부분품 수출 둔화로 전체 수출이 감소하였다. 또한, 컴퓨터·주변기기는 보조기억장치(SSD)의 전년도 수출 급증에 따른 영향으로 수출이 감소했으나, 빅테크기업의 데이터센터가 위치한 중국·네덜란드로의 수요 증가로 감소 폭은 다소 축소되었다.
지역별 수출 동향을 보면, 대만(65.6↑)으로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베트남(18.0%↑), 유럽연합(8.2%↑), 일본(3.9%↑), 중국(홍콩포함, 0.3%↑) 등 주요 시장에서 수출이 증가한 반면, 미국(△9.9%)은 수출이 감소하였다.
8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입(125.3억 달러)은 반도체(4.7%↑), 휴대폰(20.2%↑), 컴퓨터·주변기기(31.1%↑)의 증가로 전년 동월(116.4억 달러) 대비 7.6% 증가하였다. 특히, 컴퓨터·주변기기의 경우 AI 수요 확대에 따른 데이터센터용 GPU(0.2억 달러, 249.1%↑), 중대형컴퓨터(3.4억 달러, 144.2%↑) 수입이 증가세를 이어갔고, 휴대폰의 경우 베트남에서 조립된 국내 기업의 완제품(0.8억 달러, 69.8%↑) 수입이 크게 증가하였다.
* GPU 수입 추이(억 달러, %) : ('25.5월)0.3(130.3↑) → (6월)0.1(△9.4) → (7월)0.6(750.5↑) → (8월)0.2(249.1↑)
* 중대형컴퓨터 수입 추이(억 달러, %) : ('25.5월)4.3(129.9↑) → (6월)2.8(△29.0) → (7월)3.0(39.9↑) → (8월)3.4(144.2↑)
정보통신산업(ICT) 8월 수출 현황 |
□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반도체 : 151.1억 달러, 27.0%↑) 메모리 반도체의 고정가격(D램, 낸드) 상승세*와 AI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고부가 메모리(DDR5, HBM 등)의 견조한 수요로 역대 최대 실적 기록
* D램8Gb 단가 추이($) : ('25.5월)2.1 → (6월)2.6 → (7월)3.9 → (8월)5.7
낸드128Gb 단가 추이($) : ('25.5월)2.9 → (6월)3.1 → (7월)3.4 → (8월)3.4
※ 반도체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138.0(21.2↑) → (6월)149.8(11.5↑) → (7월)147.2(31.2↑) → (8월)151.1(27.0↑)
○ (디스플레이 : 18.2억 달러, △9.4%) LCD(2.7억 달러, △26.0%)는 수요 감소 및 단가 하락에 따른 수출 감소, OLED(13.5억 달러, △4.9%)는 패널 적용 확대에도 불구하고 TV, 모니터 등 전방 수요 부진으로 수출이 감소하면서 전체 수출이 감소
※ 디스플레이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15.2(△17.5) → (6월)12.9(△33.7) → (7월)17.6(△8.9) → (8월)18.2(△9.4)
○ (휴대폰 : 13.3억 달러, △15.4%) 완제품(3.4억 달러, 4.5%↑)의 신제품 수출 호조에도 부분품(9.9억 달러, △20.5%)의 해외 주요 생산 거점인 중국 向(<홍콩 포함> 7.7억 달러, △17.3%) 수출 둔화로 전체 수출이 감소
※ 휴대폰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10.5(2.8↑) → (6월)7.9(△6.2) → (7월)9.6(△21.7) → (8월)13.3(△15.4)
○ (컴퓨터·주변기기 : 13.4억 달러, △16.6%) 보조기억장치(SSD)의 전년도 수출 급증에 따른 영향으로 전체 수출은 감소했으나, 빅테크기업의 데이터센터가 위치한 중국(<홍콩 포함> 13.4%↑), 네덜란드(167.8%↑)로의 수출 증가로 감소폭 축소
* SSD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9.1(6.9↑) → (6월)11.3(17.7↑) → (7월)7.5(△22.4) → (8월)10.3(△17.2)
※ 컴퓨터·주변기기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12.0(1.7↑) → (6월)14.5(12.6↑) → (7월)10.9(△17.1) → (8월)13.4(△16.6)
○ (통신장비 : 1.9억 달러, 1.8%↑) 미국(0.4억 달러, 2.2%↑), 멕시코(0.1억 달러, 59.6%↑) 등의 전장용 수요 호조로 수출이 증가
※ 통신장비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2.0(9.9↑) → (6월)2.0(△1.2) → (7월)2.0(4.6↑) → (8월)1.9(1.8↑)
※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월 대비) • (중소·중견기업 51.1억 달러, 2.9%↑) 반도체(27.5억 달러, 12.7%↑), 통신장비(1.2억 달러, 11.0%↑) 등은 증가, 디스플레이(2.0억 달러, △5.3%), 휴대폰(2.2억 달러, △45.4%), 컴퓨터·주변기기(1.8억 달러, △10.4%) 등은 감소 * 중소기업(14.4억 달러, △2.8%) 통신장비(0.7억 달러, 14.8%↑)는 증가, 반도체(2.5억 달러, △0.3%), 디스플레이(0.6억 달러, △4.4%), 휴대폰(0.5억 달러, △31.3%), 컴퓨터·주변기기(1.3억 달러, △15.2%) 등은 감소 |
□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중국<홍콩 포함> : 83.4억 달러, 0.3%↑) 반도체(61.1억 달러, 5.2%↑) 수요가 일부 회복되었으나, 휴대폰(7.9억 달러, △16.6), 디스플레이(5.5억 달러, △11.2) 등 전방산업 부진으로 증가 폭은 제한적
※ 중국(홍콩 포함)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75.8(△6.8) → (6월)78.9(△9.4) → (7월)74.7(△5.6) → (8월)83.4(0.3↑)
○ (베트남 : 38.6억 달러, 18.0%↑) 반도체(22.0억 달러, 44.1%↑)가 수출을 견인하며 전체 수출은 회복세 지속
※ 베트남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35.5(15.7↑) → (6월)31.7(△6.9) → (7월)36.3(16.4↑) → (8월)38.6(18.0↑)
○ (대만 : 36.0억 달러, 65.6%↑) 반도체*(33.6억 달러, 66.0%↑), 컴퓨터·주변기기(0.9억 달러, 188.2%↑)가 수출을 견인하며 전체 수출은 증가
* DDR5, HBM 등 고부가 메모리(27.1억 달러, 64.5%↑)가 반도체 수출 견인
※ 대만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29.4(80.4↑) → (6월)36.1(54.6↑) → (7월)37.1(89.7↑) → (8월)36.0(65.6↑)
○ (미국 : 23.3억 달러, △9.9%) 반도체(10.9억 달러, 34.8%↑), 휴대폰(0.7억 달러, 96.3↑)은 증가하였으나, 주요 수출 품목인 컴퓨터·주변기기(4.1억 달러, △43.6%) 수출이 감소세로 전환
※ 미국 수출 추이(억 달러, %) : ('23.10월)17.4(△14.7) → (11월)20.6(12.5↑) → ('25.7월)27.1(11.9↑) → (8월)23.3(△9.9)
○ (유럽연합 : 13.0억 달러, 8.2%↑) 반도체(4.0억 달러, 53.1%↑)가 전체 수출을 견인하며 성장 기조 유지
※ 유럽연합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11.0(1.5↑) → (6월)9.3(△5.4) → (7월)12.0(18.0↑) → (8월)13.0(8.2↑)
○ (인도 : 4.6억 달러, 0.4%↑) 반도체(3.0억 달러, 11.6%↑), 컴퓨터·주변기기(0.1억 달러, 55.7%↑) 호조로 전체 수출은 증가세
※ 인도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4.9(7.7↑) → (6월)4.2(△6.4) → (7월)4.8(14.1↑) → (8월)4.6(0.4↑)
○ (일본 : 3.3억 달러, 3.9%↑) 컴퓨터·주변기기(0.6억 달러, 36.0%↑)가 수출을 견인하며 전체 수출은 증가세
※ 일본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3.4(12.5↑) → (6월)3.9(18.0↑) → (7월)3.3(23.9↑) → (8월)3.3(3.9↑)
정보통신산업(ICT) 8월 수입 현황 |
□ (품목별) 반도체(65.7억 달러, 4.7%↑), 컴퓨터·주변기기(12.9억 달러, 31.1%↑), 휴대폰(5.8억 달러, 20.2%↑), 통신장비(3.6억 달러, 11.1%↑)는 증가, 디스플레이(3.7억 달러, △1.1%)는 감소
□ (지역별) 대만(21.9억 달러, 2.9%↑), 베트남(14.4억 달러, 17.8%↑)은 증가, 중국(홍콩포함, 35.0억 달러, △19.7%), 일본(10.0억 달러, △14.2%), 미국(6.8억 달러, △4.4%)은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