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체력인증센터 100곳으로… 건강 수명 3세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서울시, 추석 대비 ‘온라인 축산물·배달앱 반찬’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한강변 정비 ‘강동 리버 그린웨이’ 본궤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아이들의 생각이 곧 정책으로… 성북구 ‘아동친화도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권위 내려놓는 관사… 문화공간·쉼터로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경남 도민의 집·도지사 관사 터에
‘역사문화공원’ 지어 2028년 개관

부산시장 관사 ‘도모헌’ 개명·개방
10개월 만에 30만명 방문 큰 호응

시도지사 관사가 문화·역사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한때 예산 낭비와 권위주의의 상징이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이제는 주민과 방문객을 위한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경남도는 창원시 용호동 경남 도민의 집과 옛 도지사 관사 터에 ‘경남 역사문화공원’을 조성할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도민의 집은 1983년부터 2008년까지 도시자 관사로 사용했다. 9884㎡ 터에 지하 1층, 지상 2층의 연면적 829㎡ 규모 건물은 2008년 9월 시민에게 개방됐다. 옛 도시자 관사는 2016년 8월 홍준표 경남지사 재임 시절 사용했고, 2022년 9월 도민에 환원됐다. 관사는 5199㎡ 터에 연면적 217㎡의 2층 건물이다.

도는 140억원을 들여 이곳을 경남 역사와 문화를 담아내는 공간으로 재창조할 방침이다. 2028년 말 개관이 목표다.

‘관사의 변신’은 곳곳에서 이어진다. 부산시장 관사는 지난해 9월 ‘도모헌’으로 이름을 바꾸고 40여년 만에 시민에게 개방했다. 산책로, 정원 등을 갖춘 도모헌은 개관 10개월 만에 누적 방문객 30만명을 돌파하는 등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전북지사 관사도 ‘하얀 양옥집’이라는 이름으로 지난해 53년 만에 도민 품으로 돌아왔다. 1층은 지역 예술인 전시 공간으로, 2층은 도정 역사를 아우르는 공간 등으로 활용 중이다. 한옥마을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도담소’라 이름 붙은 경기지사 관사도 개방행사를 여는 등 도민 소통 공간으로 활용 중이다. 인천시장 관사는 ‘긴담모퉁이집’이라는 이름의 문화시설로 이용 중이고, 울산시장 관사는 공공임대주택·어린이집·공영주차장 등을 두루 갖춘 복합공공시설로 변신했다. 제주시장 관사는 어린이도서관으로 전환했고, 충북지사 관사였던 충북문화관에는 최근 문화 휴식 공간인 ‘놀꽃마루’가 새로 조성됐다.

관사 개방은 지자체가 특권과 권위주의적 관행을 버리고 주민 중심의 행정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다만 주민 등이 지속적으로 방문·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나 콘텐츠를 지속 발굴해 예산 낭비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재욱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각종 문화 행사는 물론 전시회, 시민사회 토론의 장으로 관사를 활용해 수동적 관람이 아닌 능동적인 활동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내외빈 만찬 공간 등으로도 활용하며 해당 지자체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민주적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창원 이창언 기자
2025-09-1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오세훈 “백사마을 사회통합·상징 공간 될 것”

35층·3178가구 명품단지 탈바꿈 12월 철거 완료… 2029년 입주 목표

청년 창업에 날개… 유니콘 키우는 성동[현장 행정]

‘성동청년 창업이룸센터’ 문 열어

착한 소비로 나눔 실천할 중랑구민 모여라

12일 중앙광장서 ‘새마을 알뜰장터’ 재사용 물품 판매 수익 취약층 지원

“치매노리터서 기억·집중력 키워요”…어르신 정신건강

상반기 청림동 등서 1193명 참여 만족도 조사 5점 만점에 평균 4.6 구강 건강 프로그램도 연계 진행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