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구 9곳 중 착공한 곳 2곳 뿐
7곳은 실시단계ㆍ계획만 잡혀
최근 한달 새 광주·전남을 강타한 ‘극한 호우’로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면서 대량의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우수저류 시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광주시는 서·남·북·광산구 등 4개 구에 9곳의 저류시설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현재 공사 중인 저류시설은 북구 문흥성당 인근 1곳(저장용량 2만 7000t)과 광산구 우산동 광주자동화설비 공고 인근(9660t) 등 2곳뿐으로 각각 내년 6월과 1월 준공 예정이다.
북구에는 2곳의 저류시설 설치가 예정돼 있지만 아직 실시설계 단계다. 북구청 사거리 동강대 주차장 지하에 들어설 저류시설(1만2700t)은 오는 12월, 중흥동 전남대 인근 시설(3만t)은 2027년 상반기 착공 예정이다.
완공까지는 2년 이상 걸린다. 서구 농성동 서석고 인근(12만 5000t)과 쌍촌동 상무중학교 인근(1만 5000t), 남구 주월동 봉선공원 인근(14만t), 광산구 송정공원역 인근 (5만 2750t)과 월전동 평동산업단지 인근(5만 2500t) 등 5곳은 계획만 있다.
광주에서는 지난번 폭우 당시 도시철도2호선 지하구간 공사로 인해 남구 백운광장 일대와 서구 운천저수지 일대 지하에 빗물이 고일 수 있는 공간이 생겨나면서 상습 침수지였던 이들 지역의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저류시설의 효과가 입증됐다.
광주 홍행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