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승기 포스텍 교수팀 연구결과
탄소중립만으론 재해 못 막아
지역 맞춤형 대책도 병행해야
경북 포항공과대학(POSTECH)은 민승기 환경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이산화탄소 배출을 멈추는 ‘탄소중립’만으로는 강력한 태풍과 폭우의 위험을 막기 어렵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지구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기후 모델을 이용해 ‘탄소중립’과 ‘탄소감축’ 두 가지 시나리오의 향후 400년 변화를 분석했다.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온실가스 배출을 멈추는 경우를, 탄소감축은 공기 중 이산화탄소까지 제거하는 시나리오다.
탄소중립을 달성할 경우 북반구 태풍은 줄어들지만, 남반구에서는 증가해 향후 300년 동안 지속됐다. 문제는 육지에 상륙하는 태풍의 강도와 쏟아지는 비의 양이 크게 증가한다는 점이다. 태풍 수가 줄어도 한번 발생하면 더 강력하고 위험한 형태로 변할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탄소감축 시나리오에서는 남반구 태풍 증가는 200년 만에 해소되고, 태풍 강도와 극한 강수 현상도 눈에 띄게 완화됐다. 기후 재난을 근본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도 제거해야 한다는 게 기후 모델에서 드러났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파트너 저널인 ‘npj 기후와 대기과학’에 실렸다.
민 교수는 “탄소중립을 달성하더라도 강력한 태풍과 극한 강수 위험은 수 세기 동안 지속될 수 있다”며 “이를 막기 위해서는 탄소감축과 같은 적극적인 기후 대응 전략과 지역 맞춤형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했다.
포항 김형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