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어린이집 운영난 심화…실질적 지원책 마련 시급”
서울시의회 박성연 의원(국민의힘, 광진2)은 지난 17일 서울시청 본관에서 서울시가정어린이집연합회와 함께 김병민 서울시 정무부시장과 ‘서울시가정어린이집 운영 지원 강화’를 위한 정책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에는 박 의원을 비롯해 김병민 서울시 정무부시장, 홍부연 서울시가정어린이집연합회 회장, 김영미 광진구가정어린이집연합회 회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가정어린이집 운영난 해결을 위한 실질적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현재 국공립어린이집의 조리사는 8시간 근무하며 인건비가 전액 지원되는 반면, 가정어린이집의 보육도우미는 4시간 근무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보육비 동결로 인건비와 급식비 부담이 증가하며 어린이집 운영난이 심화되고 있다.
보육도우미가 휴가를 사용할 경우 대체인력이 지원되지 않아 원장이 직접 조리를 담당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가정어린이집 원장은 교사 역할을 겸임하고 있어 보육과 조리를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이는 보육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 홍부연 서울시가정어린이집연합회 회장은 “현재 보육비가 동결된 상태에서 인건비와 급식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어린이집 운영 부담이 커지고 있다”라며 “질 높은 보육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교사 수급과 양질의 급식을 위한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홍 회장은 “보육도우미의 근무시간을 현행 4시간에서 6시간으로 확대해 보육의 질을 높이고, 보육도우미 휴가 시 대체인력 인건비 지원을 통해 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문제는 보육교사 간 급여 형평성 문제다. 현재 민간 및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은 경력과 무관하게 같은 급여를 받고 있으며, 반면 국공립어린이집으로 이동하면 경력 호봉이 적용되는 구조다.
또한 홍 회장은 “현재 민간·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이 겪는 급여 형평성 문제가 심각하다”며 “경력 10년 차 교사와 1년 차 교사의 급여가 동일한 현실에서, 경력 교사들이 국공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계속된다면 민간·가정어린이집에서는 우수한 교사를 유지하기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홍 회장은 “교사들의 급여 체계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며, “보육의 질을 유지하고 지원의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울시가 적극적으로 검토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가정어린이집은 영아 중심 보육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영상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며라 “보육도우미 근무시간 확대, 대체인력 지원, 인건비 지원 등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서울시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 부시장은 “가정어린이집 운영의 어려움을 깊이 공감하며,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