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만에 본격 인구주택조사 시행
개인정보 민감성 탓에 응답률 하락
“이중 방화벽 상시 운영… 해킹 안전”
“해킹되면 제 정보도 넘어가는 것 아닌가요?”
국가데이터처의 ‘인구주택총조사’를 둘러싸고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반응들입니다. 잇따른 해킹 사고로 개인정보에 대한 민감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면서, 데이터처가 예상치 못한 ‘벽’에 부딪힌 모습입니다.
데이터처는 이달 1~18일 인구주택총조사 현장 조사를 진행 중입니다. 5년마다 시행하는 최대 규모 국가 통계로, 조사원이 가구를 직접 찾아가 정책 설계에 필요한 42개 항목을 묻습니다. 올해는 조사원 3만 명이 표본 가구 500만 곳을 찾아갑니다. 직전 조사는 코로나19로 크게 제한됐던 만큼, 사실상 10년 만의 본격적인 현장 조사입니다.
문항에는 경력 단절 여부, 비혼 동거 여부 등 개인의 삶을 폭넓게 파악하는 질문이 담겼습니다. 대면 조사가 오랜만인 데다 문항도 적지 않아 “원래 이렇게 자세히 물었느냐”는 반응이 나옵니다. 새로 포함된 ‘자녀 계획’ 문항이 대표적입니다.
데이터처 관계자는 “지난 조사보다 응답률이 다소 낮아졌다”며 “최근 높아진 개인정보 보호 의식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인구주택총조사는 중장기 국가 정책과 행정 서비스의 뼈대가 되는 조사입니다.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통계를 얻으려면 국민 협조도 절실하지만, 국가도 믿음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이번 조사가 그 가늠자가 되길 기대해 봅니다.
세종 강동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