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만 공무원 직무 위험도 첫 조사
‘장시간 고정자세 근무’ 응답 최다대민 업무 > 작업 속도 > 불안 등 순공무원들은 민원 업무나 직장 내 성희롱보다 ‘장시간 앉아서 근무하는 자세’가 더 건강에 해롭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혁신처가 13일 공개한 공무원의 직무별 위험 요인 분석 결과다. 그동안 소방·경찰 등에 한정됐던 위험 분석을 130만 공무원 전체로 확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를 맡은 서울대 산학협력단은 최근 5년간 재해보상 심의에서 승인된 공상 신청서 3만 1947건을 분석해 직무 위험 요인 70개를 심리·조직·인간공학·물리·화학·생물 등 6개 분야로 분류했다. 폭언, 업무량 과다 등이 대표적 위험 요인으로 꼽혔다.
또 공무원 3만 778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한 결과, ‘장시간 고정 자세 근무(좌식 근무)’가 위험을 초래한다는 응답률이 61.8%(중복 응답)로 가장 높았다. 이어 대민업무(47.4%), 작업속도(41.8%), 불안(37.3%), 시간 압박(34.3%) 순으로 나타났다. 직장 내 성희롱은 1.7%로 가장 낮았고, 화학·생물학적 위험 요인도 5% 이하로 낮았다.
인사처 관계자는 “위험도는 노출 빈도와 강도를 함께 보는데, 좌식 근무는 대부분 공무원이 일상적으로 겪는 요인이라 체감 위험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인사처는 이번 분석을 토대로 위험도가 높은 직무군을 선정해 직무별 맞춤형 예방 정보를 담은 ‘재해예방 길잡이’를 내년 초 발간할 계획이다.
세종 한지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