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
동그란 ‘딱지 명함’, 2단·3단 접이식 ‘정책 명함’, 길이 55㎝의 ‘아코디언 명함’까지.
26일 차관급 인사 발표로 32년간의 공직 생활을 마무리하게 된 이기일(60·행정고시 37회) 보건복지부 1차관의 명함은 무려 열세 가지다. 단순한 연락처가 아니다. 명함마다 다른 얼굴, 다른 메시지를 품고 있다. 위기 임산부 상담번호 1308이 적힌 딱지 명함, 청년·어르신·장애인·저출생 정책을 요약한 통계 명함도 있다. 만나는 사람마다 삶이 다르니 건넬 정보도 달랐다.
퇴직을 앞두고 만든 마지막 명함은 아코디언 명함이다. 작은 종이를 펼치면 복지부 정책과 주요 통계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이 명함은 대외용이 아니다. 질문이 나오면 즉석에서 정확한 수치를 설명할 수 있도록 만든 일종의 ‘커닝페이퍼’다. 후배들에게 남기려 500부를 찍었다.
“복지부 직원이라면 이 정도는 알고 있어야죠. 국민을 설득하려면 정확히 알아야 하니까요.”
정책 명함은 2020년 코로나19 당시 시작됐다. 복잡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쉽게 설명하고자 명함에 인포그래픽을 넣었다. 그때부터 그의 명함은 정책을 설명하는 도구, 일종의 ‘현장용 매뉴얼’이 됐다.
정책이 바뀌면 명함도 새 옷을 입었다. 예산이 달라지면 숫자를, 제도가 바뀌면 문장을 고쳤다. 그의 명함을 본뜬 직원도 있었다. 한 과장은 출산 지원 정책을 따로 담은 명함을 만들었다. 그는 마지막 명함과 함께 후배들에게 한마디를 남겼다.
“간절하면 하게 돼요. 신념이 있으면 꼭 해내야 한다는 마음이 생기죠. 바짓가랑이를 붙들고라도 설득하게 됩니다. 모욕당해도 분노하지 않고, 통사정해도 낯부끄럽지 않아요. 내가 가는 길이 옳다면 당당할 수 있으니까요.”
세종 이현정 기자
2025-06-2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