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 '가을철 산불 예방·대응 대책' 총력...
인명보호와 초기 대응 강화
- 인명보호 중심의 총력대응으로 선제적 산불 예방 및 초기 진화 강화
- 드론 감시·비상소화장치 확충·전진배치 등 실효적 대응체계 가동
소방청(청장 직무대행 김승룡)은 가을철 건조한 기후와 산행 인구 증가로 산불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인명 보호 중심의 총력 대응을 위한 '가을철 산불 예방·대응 대책'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건조한 날씨와 강풍 등으로 대형 산불 발생 위험이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 3월에는 울산·경북·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동시다발적 산불로 10만 4천여 헥타르의 산림이 소실되고 183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초대형 산불이 잇따라 발생했다.
우선 산불 예방을 위해 건조·강풍 등 기상특보 발령 시 소방차량을 활용한 순찰과 주민 대상 산불예방 방송을 강화하고, 위기경보 '경계' 이상 발령 시 드론을 활용한 산림 감시를 실시해 조기 발견 및 신속 대응을 추진한다.
또한, 산림 인접 마을에는 소방차 도착 전 초기 대응이 가능하도록 비상소화장치함을 전국적으로 확충한다. 현재 2,807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올해 1,199개소를 추가 설치하고, 2026년부터 매년 456개소씩 5년간 총 2,280개소를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마을 단위의 초기 진화 능력을 높이고, 산불 확산 시 주택·시설물·인근 산림에 대한 예비 주수(물뿌리기) 활동도 강화할 예정이다.
산불 대응 단계에서는 중앙119구조본부 특수구조대(산불진화대)와 시·도 특수대응단을 위험지역에 전진 배치하여, 건조경보나 강풍특보 등 산불 발생 우려가 높을 경우 산불 발생 이전 단계부터 현장 대응을 준비한다.
또한, 기존에는 산불이 확산된 후에만 가능했던 소방력 동원령을 '예측 단계'에서도 발령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였으며, 동원 가능한 소방차량 대수도 기존 200대에서 400대로 확대해 대형 산불 시 신속하고 강력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했다.
아울러, 소방청은 산불전문진화차·소방헬기 등 산불 진압용 장비와 인력을 지속적으로 보강하고, 신규 소방차량에는 산불 진화가 가능한 고압분무장치를 단계적으로 장착하여 대응 효율을 높인다. 지휘관 및 신임 소방공무원 대상 산불 대응 역량 강화 교육도 확대해 현장대응 능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가을철 건조한 기후와 강풍으로 산불 위험이 높아지는 만큼, 인명보호를 최우선으로 한 선제적 대응을 통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겠다"며, "시·도 소방본부와의 긴밀한 협조로 전국 소방 역량을 결집해 대형 산불에 총력 대응하겠다"라고 말했다.
|
담당 부서 |
소방청 대응총괄과 |
책임자 |
과장 직무대리 |
신유섭 |
(044-205-7570) |
|
담당자 |
소방령 |
강영한 |
(044-205-7566) |
||
|
소방경 |
김현철 |
(044-205-7574)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