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장,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대비 2차 현장점검 ··· 대구국제공항 찾았다 |
- 대구국제공항은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기간 중 김해국제공항의 핵심 보조관문 역할 수행 - 외국 정상(급)의 '신속 입·출국 지원'과 '테러 대비' 태세 동시 점검 |
□ 이명구 관세청장은 9월 16일(화) 대구국제공항을 방문해 「2025 경주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자들의 원활한 입·출국과 안전한 회의 개최를 위한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ㅇ 이는 지난 9월 3일 포항경주공항·영일만항 현장점검에 이은 두 번째 현장 행보로,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기간 중 김해국제공항의 대체·예비공항 역할*을 담당할 대구국제공항의 준비 상황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기상악화 등 비상상황 발생으로 대구국제공항으로 회항시 행사 참석자의 통관 지원
□ 관세청은 대구국제공항이 핵심 보조관문(Secondary Gateway)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신속성'과 '안전성'을 양대 축으로 하는 맞춤형 관세행정 정책을 아래와 같이 시행할 예정이다.
〔맞춤형 정책①〕 외국 정상(급)의 신속한 입·출국 지원
ㅇ (간이통관) 귀빈들의 수하물은 공군 기지내 전용(임시)공간에서 간이하게 통관(검사 신속·간소화)하고, 경호용 총기 또한 사전에 입수된 정보에 의해 현장에서 신속히 반입 확인한다.
ㅇ (비상대응)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준비기획단(외교부)·경호처·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마련하여, 돌발상황 발생 시 즉시 대응한다.
〔맞춤형 정책②〕 행사 참가자 휴대품·회의 관련 물품의 원활한 통관 지원
ㅇ (전담창구) 대구본부세관에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통관지원반'을 편성하고, 일반 여행객과 동선이 분리된 '행사 참가자 전용 검사대' 및 '통관전담창구'를 운영하여 입국 시 대기시간을 최소화한다.
ㅇ (신속통관) 사전에 통관협조 요청을 받은 방송용 장비 및 회의용 물품 등에 대해서는 다른 신고 건보다 우선 처리하고, 다시 외국으로 반출되는 조건으로 면세 적용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맞춤형 정책③〕 총기(부분품) 및 도검·실탄 등 살상무기류 반입 철저 차단
ㅇ (장비활용) 안전한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행사를 위해 총기류·폭발물 등 테러·위해물품을 감지할 수 있는 밀리미터파 신변검색기, 이온스캐너(마약·폭발물 탐지기) 등 첨단 감시장비를 집중 활용하고, 테러우범국가를 출발·경유하는 고위험 항공편에 대해서는 정밀 검사를 대폭 강화한다.
ㅇ (대외협력) '공항운영협의회(경호처 주관)'를 비롯, 부산지방항공청, 국가정보원, 공군 등 유관기관과의 실무협의회를 통해 위험정보 실시간 공유 및 모의 적발훈련을 실시하여 합동대응 태세를 더욱 공고히 한다. 또한 사회안전 위해물품 밀반입 예방을 위하여 홍보배너 설치, 기내 방송 및 리플릿 배포 등 대국민 홍보활동도 병행한다.
□ 이명구 관세청장은 "대구국제공항은 김해국제공항의 혼잡 또는 기상 변수에 대비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대"라고 강조하며,
ㅇ "관세청은 사회안전을 담보하면서 신속한 통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여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성공 개최의 든든한 디딤돌이 되겠다"고 밝혔다.
□ 이명구 관세청장은 오는 9월 30일(화), 각국 정상들의 주 입·출국장이 될 김해국제공항을 방문하여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주요 공항만에 대한 현장점검을 이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