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찬 부산 강서구청장 인터뷰
“우리 강서구의 가장 큰 매력은 이렇게 엄청난 성장 잠재력이 있다는 겁니다.”
김형찬 부산 강서구청장은 지난달 21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잠재력이 무한한 10살 소년과 같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김 구청장은 “온통 산이라 개발할 땅이 부족한 부산에서 낙동강 하구의 넓은 평지 등은 천혜의 환경으로 그 자체가 축복”이라고도 했다.
그는 강서구가 추진 중인 ‘6+3 도시 개발’을 서울의 ‘강남’ 개발에 비유하며 설명했다. 김 구청장은 “1960년대 강남 개발 초기 무렵 서울 사람들은 아무리 강남을 잘 개발한다 해도 ‘그 미나리 밭에 어떻게 사나’라고 의심했지만 지금은 강남 4개 구에 210만명이 살지 않느냐”며 “강서구의 미래를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구청장은 “강서구는 부산에서 산업중심지로 개발할 수 있는 땅을 보유한 곳이고 가덕도 신공항과 김해공항 두 곳에다 세계적인 신항을 결합하면 물류허브 기업도시로 성장이 보장된 곳”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부울경의 한가운데 위치한 지정학적 요인도 강서구가 수도권 1극 체제를 극복할 새로운 성장축의 중심도시가 될 수 있는 중요한 잠재력”이라고도 강조했다. 김 구청장은 “대략 20년 세월이 지나면 인구 40만명을 넘어 100만명 도시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건축을 전공한 기술고시 출신으로 부산시 개발부서의 요직을 거친 김 구청장이 정년을 7년이나 남겨 두고도 과감히 민선 8기 강서구청장에 도전할 수 있었던 것도 강서구의 잠재력을 일찌감치 체감하고 확신한 덕분이라고 했다. 그는 “세계적인 물류도시는 하나같이 항만과 공항을 쌍끌이로 갖추고 있는데, 가덕도 신공항과 부산항 신항에 33선석이 더 늘어나는 2040년쯤이면 기업들이 몰려올 수밖에 없는 곳이 바로 강서구”라며 “대한민국을 선도하는 엄청난 자족도시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부산 구형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