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월 10일부터 3주간 4회에 걸쳐 산업계 및 전문가 간담회 개최
▷ 각계 의견을 종합하여 탄소중립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 신설·개편 추진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김성환)는 11월 10일부터 3주간 4회에 걸쳐 진양빌딩(서울 서대문구 소재)에서 탄소중립산업 육성과 산업계 탈탄소 전환 지원에 관한 제도적 기반 강화를 위해 산업계·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간담회는 핵심 국정과제* 중 하나인 산업의 탄소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후테크(Climate Technology)** 등을 포함한 탄소중립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열린다. 아울러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환경과 경제의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한다는 국가비전***과 국제사회에 약속한 중장기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기여하도록 산업계의 탈탄소 전환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방안도 논의한다.
* 국정과제 40번 "지속가능 미래를 위한 탄소중립 실현" 중 탄소중립산업법 제정, 기후테크 집중 지원 등 산업 탄소경쟁력 강화
**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위기 적응 기술을 활용하는 수요 효율화, 수소, 탄소 포집·활용·저장, 자원순환 등을 총칭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제7조
이미 유럽연합, 미국 등은 재생에너지 및 전기차 등 탄소중립산업을 육성하고 지원하기 위한 별도의 법률을 제정*했고, 우리나라도 관련 법안이 발의되는 등 국내외에서 탄소중립산업은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 2022년 8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2024년 6월 유럽연합 탄소중립산업법(NZIA)
이에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의견을 다각적으로 수렴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육성·지원을 위한 제도 신설 및 개편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후·환경 분야는 물론, 에너지·다배출 업종까지 포함하여 산업계 및 전문가들의 광범위한 참여를 이끌 예정이다.
이에 에너지경제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숙명여자대학교, 부경대학교, 사단법인 넥스트, 아이비케이(IBK)기업은행 등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여해 해외 탄소중립산업 육성·지원 제도와 우리나라 정책 방향을 논의한다.
재생에너지·전기차·배터리·수소 등 온실가스 저감 산업과 철강·정유·석유화학·반도체 등 탈탄소 전환이 시급한 업종에서는 현장에서 필요한 지원 정책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며, 기후테크 분야 혁신 새싹기업(스타트업) 및 중소기업도 참여하는 등 탄소중립산업 전 부문이 참여하여 실질적인 논의를 펼친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수렴된 의견 등을 종합하여 국회와 협의를 통해 '탄소중립산업법안'으로 구체화하고, 이를 통해 우리 산업의 탄소경쟁력을 강화한다는 핵심 국정과제를 견고하게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서영태 기후에너지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기후·에너지 정책의 총괄부처로서 탄소중립산업 육성과 산업계 탈탄소 전환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라면서, "관계 부처와 협업 체계를 강화하여 기후테크 등 새로운 성장동력에 과감한 투자와 규제 개선, 공공 및 민간의 수요 창출 등 선순환을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산업계·전문가 간담회 일정 안내.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