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8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
전체 매출 3.7% 증가, 오프라인 △3.1% 감소 · 온라인 10.5% 상승 늦은 추석 영향으로 대형마트 · 준대규모점포 감소 |
산업통상자원부는 '25년 8월 주요 유통업체(오프라인 13개사, 온라인 10개사)의 오프라인 매출은 3.1% 감소하고 온라인 매출은 10.5% 증가해 전체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3.7% 증가했다고 밝혔다.
< 매출액 증감률 >
오프라인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대형마트(△15.6%), 준대규모점포(△5.9%)는 감소하고 백화점(2.8%), 편의점(1.1%)은 증가했다.
금년 추석은 작년보다 19일이 늦어 추석 특수가 발생하지 않아 작년 8월에 비해 식품군을 중심으로 대형마트, 준대규모점포의 매출이 크게 줄었다.
백화점 역시 추석 특수가 늦춰짐에 따라 식품군의 매출이 줄었으나 긴 폭염* 속 더위를 식히는 실내 피서 마케팅에 힘입어 명품뿐 아니라 패션/의류 부문도 성장세를 이어가 전체 매출은 증가했다.
* ('25.8월 기온, 기상청) 전국 평균 27.1도(역대 두 번째), 8월 하순 평균 27.8도(역대 최고)
근린형 점포 중 소비쿠폰 사용처인 편의점은 매출액 증가, 사용처가 아닌 준대규모점포는 감소했다. 두 업태 모두 방문고객(구매건수)이 줄었으며 1회 방문 시 구매액(구매단가)이 편의점은 증가, 준대규모점포는 감소했다.
온라인 매출은 소비자의 온라인 구매 확대, 서비스 부문의 높은 성장 등으로 지속 성장세를 보였다.
<유통업태별 전년동월 대비 월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
'24년 |
'25년 |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
전체 |
6.7 |
6.7 |
8.0 |
8.9 |
11.7 |
4.4 |
9.2 |
7.0 |
7.0 |
7.3 |
9.1 |
3.7 |
오프라인 |
△0.9 |
0.0 |
3.9 |
△0.3 |
8.8 |
△7.7 |
△0.2 |
△1.9 |
0.9 |
△1.1 |
2.7 |
△3.1 |
온라인 |
15.7 |
13.9 |
11.8 |
18.8 |
14.6 |
16.7 |
19.0 |
15.8 |
13.0 |
15.9 |
15.3 |
10.5 |
상품군별 매출의 경우 오프라인은 식품(△6.9%), 가전/문화(△18.1%), 생활/가정(△5.7%) 등을 중심으로 감소했다. 온라인은 음식 배달·e-쿠폰·여행 상품 등의 서비스(18.1%), 식품(16.3%), 화장품(13.5%) 등이 성장했다.
<'25년 8월 전년동월 대비 상품군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
전체 |
가전/문화* |
패션/잡화 |
아동/스포츠 |
식품 |
생활/ 가정* |
서비스/ 기타 |
해외유명 브랜드 |
|||
전체 (비중,%) |
3.7 (100) |
△0.4 (10.0) |
2.3 (9.8) |
1.2 (4.2) |
2.2 (40.9) |
2.1 (12.7) |
10.3 (16.8) |
12.4 (5.6) |
|||
오프라인 (비중,%) |
△3.1 (100) |
△18.1 (1.9) |
△1.8 (9.6) |
0.1 (3.4) |
△6.9 (48.5) |
△5.7 (9.0) |
1.5 (15.7) |
12.4 (11.9) |
|||
온라인 (비중,%) |
10.5 (100) |
가전전자 |
도서문구 |
패션의류 |
화장품 |
아동유아 |
스포츠 |
|
|
|
|
1.1 (15.3) |
7.7 (1.9) |
△1.8 (4.5) |
13.5 (5.4) |
4.9 (2.8) |
△1.6 (2.1) |
16.3 (34.3) |
6.5 (15.9) |
18.1 (17.9) |
- |
* 백화점의 가전은 생활/가정에 포함
< 업태별 매출 비중 >
오프라인은 대형마트(△2.4%p), 백화점(△0.1%p), 편의점(△0.5%p), 준대규모점포(△0.3%p) 등 모든 업태에서 감소하여 전체의 46.8%였으며('24.7월 50.1%), 온라인은 3.3%p 증가한 53.2%를 기록했다.
|
<'24년과 '25년의 8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
|
|
|
|
||
'24년 8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
'25년 8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
||
|
|
<오프라인⋅온라인 월별 매출 비중 (단위 : %)>
구분 |
'24년 |
'25년 |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
오프라인 |
50.1 |
50.3 |
48.1 |
47.0 |
47.3 |
48.2 |
44.4 |
46.5 |
45.6 |
46.9 |
46.4 |
45.7 |
46.8 |
온라인 |
49.9 |
49.7 |
51.9 |
53.0 |
52.7 |
51.8 |
55.6 |
53.5 |
54.4 |
53.1 |
53.6 |
54.3 |
53.2 |
< 오프라인 점포수 / 점포당 매출 / 구매건수 >
오프라인 점포수는 전년 동월 대비 준대규모점포(2.0%)는 확대, 대형마트(△1.1%), 백화점*(△3.4%), 편의점(△1.6%)은 축소되었다.
* 현대百 디큐브시티점 영업종료('25.7월) 울산동구점을 울산점 분점으로 전환('25.6월) 등
점포당 매출은 백화점(6.5%), 편의점(2.7%)은 개선되었으며, 대형마트(△14.6%), 준대규모점포(△7.7%)는 감소했다.
온라인 유통 성장 등 유통환경 변화에 따라 백화점, 편의점은 점포수를 줄이고 점포당 매출을 개선하였으나, 대형마트는 점포수 감소에도 점포당 매출이 개선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25년 8월 전년동월 대비 점포당 매출 및 점포수 증감률 (단위 : %, 개)>
구분 |
전체 |
대형마트 |
백화점 |
편의점 |
SSM |
점포당 매출 증감률 |
4.0 |
△14.6 |
6.5 |
2.7 |
△7.7 |
점포 수 증감률 |
△1.6 |
△1.1 |
△3.4 |
△1.6 |
2.0 |
점포 수(개) |
49,608 |
369 |
56 |
47,981 |
1,202 |
오프라인의 구매건수는 대형마트(△8.7%), 백화점(△2.6%), 편의점(△2.4%), 준대규모점포(△3.1%) 모두 감소하여 전체 △2.9% 줄었다.
구매단가는 대형마트(△7.5%), 준대규모점포(△2.9%)는 감소, 백화점(5.6%), 편의점(3.5%)은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0.2% 감소하였다.
<'25년 8월 오프라인* 부문 구매건수·단가 증감률 (단위 : %)>
구분 |
전체 |
대형마트 |
백화점 |
편의점 |
SSM |
구매건수 |
△2.9 |
△8.7 |
△2.6 |
△2.4 |
△3.1 |
구매단가 |
△0.2 |
△7.5 |
5.6 |
3.5 |
△2.9 |
* 온라인은 구매건수를 집계하지 않고 있어 통계자료에 미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