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서울 백병원 부지, 응급실 갖춘 ‘중소병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중랑, 시니어 활동사진 제작단 2기 모집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관악, 민생 경제 회복 1차 추경 예산 78억 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사각지대 장애인 찾아서 지원하는 용산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휴가철 '빵지순례'는 '특허순례'? 특허빵 찾아 전국으로!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휴가철 '빵지순례'는 '특허순례'? 특허빵 찾아 전국으로!


- 최근 20년간('05∼'24년) 제빵 특허출원 연평균 11% 증가 -
- 지역명물 '튀김소보로', '부추빵', '돌가마만주', '통 옥수수빵' 등도 특허등록 -
- 개인 및 중소기업 출원이 77.7%로 다수 차지-


 

# 베이커리 전문점 대표인 A씨는 완도의 지역특산물인 전복을 활용하여 해산물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면서도 기호성을 향상시킨 전복빵 제조방법에 대해 특허를 받았다.


 

# 중소기업 B社는 발아통밀, 쌀가루 또는 한라봉을 첨가하고 빵의 노화가 억제된 호두과자 제조방법에 대해 다수의 특허를 받았다.


 

# 중견기업 C社는 전통누룩에서 분리한 효모, 유산균과 이를 활용한 제빵기술로 각각 특허를 받았고, 이를 바탕으로 제품을 출시하였다.


 

특허청(청장 김완기)은 최근 20년간('05~'24년) 제빵 특허출원이 총 3,500여건으로 연평균 11% 증가하고, 연간 출원규모는 '05년 57건에서 '24년 416건으로 약 7.3배 늘어났다고 밝혔다. [붙임]


 

최근 식문화의 변화와 함께 빵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관련 특허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 한국인 1인당 하루 빵 섭취량: ('12) 18.2g → ('23) 21.5g(출처: 질병관리청 국민건강통계)


 

또한 각 지역의 특색 있는 빵을 찾아다니는 '빵지순례'가 하나의 소비문화로 자리를 잡은 가운데, 지역명물로 알려진 '튀김소보로'와 '부추빵(이상 대전)', '돌가마만주(천안)', '통 옥수수빵(대구)', '연근팥빵(부산)', '돌게빵(여수)', '크림치즈빵'(안동)' 등도 특허등록*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 (튀김소보로) 특허 제10-1104547호('12. 1. 3.), 튀김소보로 빵의 제조방법


(부추빵) 특허 제10-1333291호('13. 11. 20.), 부추빵 및 이의 제조방법


(돌가마만주) 특허 제10-1803680호('17. 11. 24.), 돌가마만주의 제조방법


(통 옥수수빵) 특허 제10-1771099호('17. 8. 18.), 통 옥수수빵 제조방법


(연근팥빵) 특허 제10-1848065호('18.4.5.), 연근을 이용한 앙금빵 및 그 제조방법


(돌게빵) 특허 제10-2512952호('23.3.17.), 식감과 기호도가 우수한 돌게빵의 제조방법


(크림치즈빵) 특허 제10-2239373호('21.4.12.), 크림 치즈 빵 제조방법


 

<제빵 기술분야별 출원동향: 가공기술이 47.5%로 1위, '건강빵' 성장세 두드러져>


 

제빵 기술분야별 특허 비중을 살펴보면, 단팥빵, 샌드위치 등 다양한 빵을 만드는 가공기술이 47.5%(1,658건), 식이섬유, 식용곤충 등 빵의 영양과 기호를 증진시키기 위한 첨가제에 대한 기술이 29.4%(1,026건)로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붙임]


 

<건강과 맛을 함께 추구하는 빵 관련 특허출원(예시)>


◇ (무설탕 빵) : 고로쇠나무 수액, 대체당(알룰로스, 스테비아) 첨가


◇ (저지방 빵) : 전분을 가수분해하여 얻어지는 분지 덱스트린을 첨가


◇ (고단백 빵) : 두부, 두유, 또는 유청 단백질을 첨가


◇ (글루텐 프리 빵) : 밀가루 대신 쌀, 옥수수, 아몬드 또는 변성전분을 첨가하고 숙성과정을 조절하여 기존 빵과 비슷한 식감을 나타냄


◇ (비건빵) : 달걀흰자 대신 콩을 삶은 물의 일종인 '아쿠아파바(aquafaba)' 사용


 

<출원인별로는 개인 및 중소기업 비중이 77.7%로 다수 차지>


 

출원인별로는 개인 54.4%(1,900건), 중소기업 23.3%(814건), 대학 및 연구기관 8.4%(293건) 순으로, 개인과 중소기업이 전체의 77.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기업, 외국, 대학 및 연구기관 중심으로 특허출원*이 이루어지는 것에 비교하면 제빵 특허출원에서 개인출원의 비중이 두드러진다. 이는 소상공인도 아이디어와 기술만 있다면 충분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붙임]


* 출원인 유형별 전체 특허출원 비중('24년): 중소기업 25.6% > 대기업 22.9% 〉외국20.4%〉 대학 및 연구기관 13.6% 〉 개인 12.8% > 중견기업 3.9% 순


 

특허청 정연우 특허심사기획국장은 "최근 건강에 좋으면서도 맛있는 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제빵기술 특허출원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의 제빵산업이 세계에서도 인정받는 K-베이커리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식재산분야에서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