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2000대, 한강 밤하늘에 빛의 향연 펼친다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명동주민센터 신축 나선 중구…“서울시 특교금 17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성북 ‘치매 환자 고용 카페’ 약자 동행 빛났다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구로, 아동보호전문기관 설치… 학대 예방~회복 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원예 분야 종자산업 활성화' 민간과 해법 논의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 농촌진흥청, 4월 1일 민간 종자 산업체 초청 간담회


- 원예 분야, 신품종 산업 활성화를 위한 산업체 의견 수렴


- 국내 종자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 연구, 산업체 협력 강조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원예 분야 종자산업 발전을 위한 민관 협력 방안을 마련하고자 4월 1일 본청 제2회의실에서 '민간 종자·종묘 산업체 초청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는 국내 종자·종묘 산업체 13곳 관계자와 내·외부 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석해 국내 품종 육성 확대, 신품종 개발 지원, 종자산업의 국제 시장 경쟁력 강화 등을 주제로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최근 원예작물은 기후변화로 인해 안정적 생산과 수급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소비자 수요 다양화에 따라 맞춤형 품종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재배 안정성, 병 견딤성, 수확량과 품질 등 복합 형질을 갖춘 품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디지털 육종 기반 구축'에 힘이 실리고 있다. 아울러 품종 개발부터 종묘·묘목 보급, 유통·판매 촉진 활동에 이르기까지 민관 전문가가 협력하는 '통합적인 품종 관리 체계 방안 마련'이 중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 농촌진흥청은 채소 분야 민간 육종회사를 지원하기 위한 육종 소재 개발과 국내 신품종 해외 수출시장 개척 지원, 종자 기업 대상 육종 기술 보급 등 민간과의 협력 체계를 더 확고히 할 뜻을 밝혔다.


아울러, 국내 종자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는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할 것을 약속했다.


간담회를 주재한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이번 간담회에서는 민간 종자 산업체의 어려움을 듣고, 실효성 있는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라며, "국산 품종이 국내외 시장에서 확대되고 한국 종자산업이 국제 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우리 종자산업은 2013년부터 9년간 추진한 '골든시드프로젝트(GSP)*'를 통해 연구개발 기반을 강화하고 토마토, 양파, 파프리카 등 수출 유망 품종을 여럿 확보하는 성과를 이뤘다. 농촌진흥청은 프로젝트 종료 이후에도 종자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차세대농작물신육종기술개발사업 등 연구개발 투자와 민간 협력 기반 조성에 힘쓰고 있다.**


* 글로벌 종자 강국 도약과 종자 산업 기반 구축을 휘해 추진한 국가 전략형 종자 R&D 사업


** 차세대농작물신육종기술개발사업('20∼'26), 국가기반육종플랫폼개발사업('23∼'27), 신품종지역적응연구(5년간) 등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손끝으로 만나는 윤중로 벚꽃…  “보지 않아도 봄

영등포 시각장애인 ‘무장애 투어’

‘강동 아이파크 더 리버’ 오픈런 안전대책 논의

이케아·CGV·이마트 등 17일 개장 신호수 배치 등 교통량 집중 대비

복지사각 청소년에 손길 내민 중랑

민간단체 연계해 학비 등 지원 약사회·신협 등 6개 단체 참여

전통사찰 미허가 건축물 양성화하는 종로구

‘태스크포스’ 2028년까지 운영 2023년 4월 24일 이전 시설물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