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4년 어류양식동향조사 결과(잠정) 보도자료
2023년 어류양식동향조사 결과(잠정) ○(생산량) 81,911톤으로 전년 대비 약 2,101톤(2.6%) 증가 - 6, 7월 초 감성돔, 가자미류, 방어류, 농어류 등의 출하량 증가 영향 ○(생산금액) 1조 2,112억원으로 전년 대비 893억원(8.0%) 증가 - 주요 양식 어종의 대규모 폐사로 인한 출하물량 부족으로 산지가격 인상의 영향 ○(경영체 수) 1,446개로 전년 대비 5개(-0.3%) 감소 - 소규모 양식 경영체의 경영 악화에 따른 휴업 및 폐업 증가 ○(입식 마릿수) 2억 67백만 마리로 전년 대비 46백만 마리(-14.6%) 감소 - 소규모 양식 경영체의 경영 악화로 입식 유보 및 휴업, 폐업 증가가 원인 ○(양식 마릿수) 3억 38백만 마리로 전년 대비 약 1394백만 마리(-29.1%) 감소 - 주요 양식 어종의 고수온 및 질병 피해로 대규모 폐사 영향 ○(양식 면적) 351만 제곱미터로 전년 대비 약 1만 제곱미터(-0.2%) 감소 ○(먹이를 준 량)536천 톤으로 전년 대비 약 12천톤(-2.3%) 감소 - 대규모 폐사로 인한 주요 양식 어종의 양식량 감소가 주요 원인 ○(종사자 수) 5,354명으로 전년 대비 26명(0.5%) 증가 - 지속적인 외국인 근로자 유입과 양식장 관리인력 수요 증가의 영향 각 지표별 자세한 내용은 붙임 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