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재난이나 집중호우 등 긴급상황으로 인한 119 신고 폭주 시에도 통화대기 필요 없이 ‘AI 콜봇’에 편하고 빠르게 신고할 수 있게 됐다.
서울시는 지난 3월부터 전국 최초로 AI 기반 ‘119 신고 접수 시스템’을 시범 운영 중이라고 23일 밝혔다.
현재 119 신고 시스템은 총 720개 회선을 보유하고 있지만 동시 통화가 집중될 경우 통화량 초과로 ARS 대기 상태로 전환되고는 했다. AI콜봇은 최대 240건의 대기 신고도 동시 처리할 수 있어 더욱 빠른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AI콜봇은 긴급한 사건 사고나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한 사안을 분류하고, 우선적으로 서울종합방재센터 접수요원에게 연결해 처리하는 방식이다. 또 동일 지역에 대한 유사 신고가 다수 접수된 경우에는 화재, 붕괴 등 복합 재난의 가능성까지 통합 분석해 조기에 위험을 감지할 수 있는 기능도 탑재했다.
3월 시범 운영 이후 4개월간 AI 콜봇을 통해 접수된 신고는 총 1만 1434건이며 이중 긴급으로 분류된 신고 건은 2250건이다.
해당 서비스는 도로 침수, 배수 불량 등 단순·반복적인 일상 재난 민원까지 실시간으로 지원하는 체계로 확대되며, 올해 시스템 구축을 착수해 2026년 하반기 시범 운영될 예정이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AI가 생명을 지키는 도구가 된 만큼 기술의 신뢰성과 시민의 믿음을 함께 확보해야 한다”며 “서울시는 AI기술이 시민의 안전 속에서 작동하도록, 제도적 기반과 공공 AI 생태계를 조화롭게 구축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유규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