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아세아아파트’ 등 3곳 건축 심의 통과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용산서 ‘전자제품 유행 변천사’ 한눈에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이번 주말, 성북에서 만나는 유럽의 크리스마스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서울 중구민 안전은 ‘CCTV 통합안전센터’가 책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마을공동체 꽃피운 ‘보성600’… 2030년까지 8000곳으로 확대”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김철우 전남 보성군수가 이끄는 ‘군민이 주인 되는 참여자치’

내 집 앞 가꾸기에서 시작한 사업
자연마을 600곳으로 확대해 발전
郡, 애로사항 청취해 행정력 지원

두릅 공동 작목 통해 소득 극대화
마을형 기업·협동 조합으로 발전
AI 트레이너 도입·건강어울마당
보건 분야로 늘려 22개 시군 전파
재선에 성공한 김철우 전남 보성군수는 지난 민선 7기 때의 탄탄한 행정 경험을 바탕으로 민선 8기에서도 군민의 이해와 공감을 이끄는 군정 운영을 통해 군민이 주인이 되는 참여자치를 이끌어 가고 있다. 군민과의 소통을 가장 중시하고 있는 김 군수는 새로운 보성을 만들기 위해 2020년부터 시작한 ‘보성600’ 사업 정착으로 군민이 행복한 고장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가졌다. 이 사업은 마을 주민이 직접 나서서 자신의 터전을 가꾸는 대한민국 최초의 주민 참여형 사업이다. 마을 주도형으로 문화, 관광, 경제 분야에서 유무형 가치 재창출의 선순환을 이뤘다는 평가를 얻고 있는 제도다. 김 군수는 공동체 의식을 증진하고 군민이 주인이 되는 진정한 지방자치로서의 진일보를 이끈 보성600을 그 후속작인 ‘소통600’, ‘문화600’, ‘복지600’, ‘클린600’, ‘안심600’, ‘산림600’ 사업 등으로 확장하는 데 행정력을 모으고 있다. 다음은 김 군수와의 일문일답.


김철우 전남 보성군수가 3일 서울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주민들이 직접 마을에 필요한 사업을 구상하고 설계하면서 소속감과 연대감을 갖는 ‘보성600’ 시리즈를 완성해 ‘보성에 살기 참 잘했다’라는 말씀이 나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보성군 제공


-보성600 사업이 무엇인지 간략하게 설명하면.

“보성600은 주민 주도형 마을 가꾸기 사업이다. 군은 2020년 보성600을 처음으로 시작해 벌써 5년째 전 군민의 참여 속에 해를 거듭할수록 발전해 나가고 있다. 군의 브랜드 시책인 보성600 사업은 ‘보성600’이라는 숫자에 의미를 담아 만들었다. 보성600의 ‘600’은 바로 보성군에 있는 자연마을의 숫자다. 보성에 있는 600개의 자연마을 주민 한 분 한 분이 내 손으로 내 집 앞을 가꾸고, 내 손으로 우리 마을을 바꿔 나가는 주민 주도형 마을 가꾸기 사업이다.”

-보성600 사업을 추진하게 된 계기는.

“보성600 사업은 작은 마을 앞 신작로에서 풀을 매고 있던 할머니 한 분에서부터 시작됐다. 이른 아침 출근길에 도로 옆에서 풀을 매고 있는 할머니 한 분을 봤는데 차에서 내려 “할머니 지금 뭐하고 계셔요?” 하고 여쭸더니 “우리 손주 학교 데려다주고 오는 길인데 길가에 예쁜 꽃이 피어 있어서 학교 갔다 오는 손주 보라고 꽃나무 옆에 있는 풀을 뽑고 계신다”고 하셨다. 학교 갔다 오는 손주 보라고 길가의 풀을 뽑고 있는 할머니의 모습에 ‘아~ 저 할머니의 손주는 학교 갔다 오는 길에 분명 저 꽃을 보겠구나. 이런 마음이 보성에 있는 600개의 마을에 퍼진다면 우리 보성이 어떻게 될까?’ 이런 생각에서 시작한 사업이 바로 보성600 사업이다.”

-보성600 사업의 특징은.

“주민이 직접 참여해 우리 마을에 가장 필요한 게 무엇인지 주민 스스로 결정하고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세우면 행정에서는 보다 전문적인 컨설팅을 해드리는 것이다. 마을 앞 상습적인 쓰레기 투기 지역을 꽃밭으로 만든다면 꽃나무를 제공하고, 마을 담장에 벽화를 그린다면 마을 특색을 살릴 수 있는 디자인을 제안했다. 또 보성600 사업 신청 가구를 대상으로 ‘가가호호’ 문패를 제작·설치해 보성 군민으로서의 일체감과 공동체 의식을 높였다. 신작로나 공유지에 유실수나 소득 작물을 심는다면 그 또한 행정력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모든 재료와 자재를 아낌없이 지원하고 있다. 물론 주민이 직접 참여해 노동력을 들여야 한다. 집안의 수십년 묵은 쓰레기를 처리하는 클린600이라는 사업을 만들었는데 1100t이라는 상상할 수 없는 쓰레기를 주민들이 직접 분리수거를 해 처리하기도 했다. 실제로 사업 현장에 가 보면 어르신들께서 삽과 괭이를 들고 활짝 웃으며 참여하고 계신다. 왜 그렇게들 싱글벙글이시냐고 여쭤 보면 오랜만에 내 집과 내 집 앞, 내 동네가 깨끗하게 바뀌는 것을 보면서 즐거워서 웃는다고들 이야기하신다. 저 또한 현장에서 주민들과 함께 나무도 심고 땀을 흘리면서 자연스럽게 지역주민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면서 군정에 반영하곤 한다.”




-보성600 사업 시작 후 가장 뜻깊게 생각하는 점은.

“마을 공동체가 부활한 게 무엇보다 가장 뜻깊다. 주민들이 직접 마을에 필요한 사업을 구상하고 설계하면서 소속감과 연대감이 깊어져 가고 있다. 특히 내 의견이 마을사업에 직접 반영되는 것을 보면서 군정 참여에 더욱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군민이 직접 참여하는 지방자치, 이게 바로 진정한 참여 자치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주민 소득으로 이어지고 있는 점도 고무적이다. 2020년 마을 공동 소득 작목으로 심은 두릅이 시초가 돼 ‘보성 두릅축제 한마당’이라는 소규모 마을 축제가 열렸고 두릅을 심는 농가가 늘어나면서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으며, 가락동 시장까지 진출하고 있다. ‘마을형기업, 협동조합으로 나아가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주민들 스스로 축제를 만들고 공동 판매를 하면서 마을 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재투자하는 단계까지 왔다. 이런 혁신적인 모델들이 점점 더 많이 생길 거라고 보고 있고, 이런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행정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보성600 사업이 다양한 형태로 추진되고 있다는데.

“보성600 사업은 이제 보성을 넘어 전남도 시책사업이 돼 ‘청정전남 으뜸마을’이라는 이름으로 22개 시군 전역으로 확대됐다. 올해 한 해 전남도 3000개 마을에서 이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2030년까지 총 8000여 마을로 확대하는 게 전남도의 목표다. 더 나아가 우리 군에서는 자치분권 특화 사업으로 보성600 사업을 행정 전 분야에 확대하고 적용하고 있다.”

-내년에도 새로운 600 시리즈를 만나 볼 수 있겠다.

“2025년에는 군민이 체감하고 공감하는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건강600, 슬기로운 건강생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건강600’은 건강하고 활기찬 보성을 위해 주민 참여형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군민 모두가 누리는 의료 서비스를 제고하는 데에 중점을 뒀다. 건강어울마당, 청장년 건강 디딤돌 사업, 인공지능(AI) 트레이너의 건강관리 날, 생활터별 건강관리 지원 등이다. 건강과 관련된 당면 현안들을 해결하고 모든 군민이 평생 건강을 누릴 수 있는 살기 좋은 보성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

보성 최종필 기자
2024-12-04 24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