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채용공고…25일까지 지원서류 접수
기존 시범운영 9개 기관에서 24개로 확대
청년 목소리를 정부 정책에 반영하는 역할
윤석열 정부 대선 공약으로 도입된 청년보좌역은 각 장관실 소속으로 배치돼 정부 정책을 바라보고 청년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는 역할을 한다.
정부는 지난해 11월부터 기획재정부, 교육부, 행정안전부 등 9개 기관에서 청년보좌역 제도를 시범 운영했다.
이번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교부, 통일부, 법무부, 국민권익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등 15곳이 청년보좌역을 신규 채용해 총 24개 기관이 청년보좌역을 두게 된다.
기존 시범운영 9개 기관도 청년보좌역을 1명씩 추가 채용한다. 이에 따라 청년보좌역은 현재 9명에서 총 33명으로 늘어나게 된다.
최종면접 시행 예정일 기준으로 19∼34세 청년이 지원할 수 있다.
학위·경력 등 세부 자격요건은 기관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반드시 채용기관 각각의 공고문을 확인해야 한다고 정부는 밝혔다.
이달 15일부터 25일까지 채용 지원서류를 접수할 수 있으며. 채용 공고는 정부 ‘청년DB’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정부는 “청년보좌역을 운영하는 부처에는 20~30대가 중심이 돼 청년 세대의 인식을 청년보좌역에게 전달하는 ‘2030 자문단’도 구성할 것”이라며 “국정에 청년이 다양하게 참여하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유승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