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가 주최하고 동아시아연구원(EAI)이 주관한 <2025 군축·비확산 청년사절단>이 4개월간의 활동을 마무리하며 열린소통포럼(서울정부청사 별관 1층)에서 해단식을 가졌다.
※ 외교부는 2019년 이래 우리 주도로 유엔총회에서 격년으로 채택하고 있는 '청년과 군축·비확산(Youth,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결의' 이행 차원에서 다양한 청년 참여형 프로그램을 기획 및 운영해오고 있음. 청년의 군축·비확산 분야에 대한 관심 제고 및 참여 증진을 위해 2023년부터 매년 <군축·비확산 청년사절단>을 모집하여 운영 중임.
외교부는 지난 6월 발대식을 통해 국내외 대학(원)생 20명을 2025 군축·비확산 청년사절단으로 임명했다. 청년사절단은 ▲국제 군축·비확산 체제, ▲핵무기, ▲미사일, ▲우주안보, ▲인공지능(AI)의 군사적 활용 등 군축·비확산 분야 주요 주제에 대한 전문가 강의(총 10강)로 구성된 군축·비확산 청년아카데미를 수료했다. 아울러, 청년 아카데미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AI 등 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최근 국제사회에서 관심을 얻고 있는 주제인 신기술과 핵군축・비확산에 관한 팀별 정책제안서를 작성했다.
백윤정 국제안보심의관은 격려사를 통해 그간 적극적으로 활동한 청년사절단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2025 군축·비확산 청년사절단 활동은 종료되지만 지속가능한 평화를 위해서는 미래세대인 청년의 참여가 중요하므로, 앞으로도 군축·비확산에 대해 계속 관심을 갖고 활동해달라고 당부했다.
정책제안서 우수작에 대한 시상도 진행됐다. 평가위원단의 심사를 거쳐 총 3편의 보고서가 우수작으로 선정됐다. 우수작으로 선정된 청년사절에게는 외교부장관상과 부상이 주어졌다. 이 중 최우수상을 받은 청년사절단에게는 올해 제80차 유엔총회 1위원회 계기 청년군축포럼(10월, 뉴욕)에 참관할 기회가 주어진다.
외교부는 '청년과 군축비확산' 의제 주도국으로 군축·비확산 분야의 국제 논의에 청년의 목소리가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계속해서 펼쳐나갈 것이다.
붙 임 : <2025 군축·비확산 청년사절단> 해단식 사진.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