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TAD와 함께 보는 세계투자보고서, 글로벌 FDI 트렌드와 전망 논의 |
- UNCTAD 「World Investment Report 2025」 담당자 글로벌 FDI 트렌드발표 - 지난해 글로벌 FDI 전년대비 11%감소, 디지털경제·AI 분야는 성장세 지속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7.8일(화) 서울 KOTRA에서 UNCTAD가 최근 발간한 『World Investment Report 2025』의 주요 내용을 UNCTAD 담당자 및 OECD 등 전문가와 함께 직접 청취하고, 글로벌 외국인직접투자(FDI) 환경 변화에 대한 한국의 정책적 대응방향을 논의하는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UNCTAD에 따르면, '24년 글로벌 FDI는 전년 대비 11% 감소(1.67조불→1.49조불)하였으며, 올해 역시 지경학적 불확실성과 무역 갈등 등으로 투자심리가 약화되며 글로벌 FDI 흐름의 불확실성이 한층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 `25년 GDP 성장률·자본형성·무역·환율 변동성 등 FDI 주요 결정요인 악화에 따른 비관적(negative) 성장세 전망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인프라, 에너지, 그린필드 분야의 투자는 감소세를 보이는 반면, 인공지능(AI) 인프라, 핀테크, 이커머스 등 디지털 경제 관련 분야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반도체, AI, 배터리 등 디지털 인프라 산업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투자 유치 기회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UNCTAD 보고서에 따르면 북미·유럽을 중심으로 국가안보와 기술보호를 이유로 외국인투자에 대한 심사 및 제한 제도가 강화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국제적 흐름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외국인투자촉진법 개정('25.5월 발의)을 통해 외국인투자 안보심의 제도 강화를 검토 중인 상황도 세미나에서 함께 공유되었다.
* FDI 심사관련 외투규제 채택 국가 : '15년 21개국 → '24년 46개국
산업통상자원부 유법민 투자정책관은 "글로벌 투자 환경이 구조적으로 변화하는 시점에서 이번 세미나는 한국의 전략적 대응 방향을 함께 고민하는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특히 디지털·첨단 산업에 집중되고 있는 글로벌 투자 흐름을 반영하여, 한국이 AI·반도체 등 첨단분야의 글로벌 투자 허브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