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기 수해 키우는 노후 하수도
20년 이상 경과 관로 7만 2586㎞대구 74%, 서울 66%로 비율 높아
막히거나 깨진 곳은 파악도 안 돼
배수 늦어 시가지 잠길 위험 커져 전국 하수도 시설의 43%가 20년 이상된 노후 관로지만 정밀 실태조사와 정비사업이 지지부진해 배수불량, 하수 역류, 땅꺼짐, 지하수 오염 등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올 장마기간에도 하수구 배수 기능이 한계를 드러내 도심 침수 원인으로 작용했다.
17일 환경부와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17개 시도의 하수시설 가운데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 하수관로는 2022년 현재 7만 2586㎞다. 전체 16만 8785㎞의 43.0%에 이른다. 10년 미만 시설은 4만 8615㎞(28.8%), 10~20년은 4만 7741㎞(28.2%)인 것으로 집계됐다.
하수도 노후화율은 대구시가 74%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대구시의 하수관로 6209㎞ 가운데 4597㎞가 20년 이상 된 노후 시설이고, 10년 미만 시설은 778㎞(12.5%)에 그친다. 이어 ▲서울 66.3% ▲광주 64.9% ▲대전 62.1% ▲인천 58.3% 등의 순으로 전국 평균보다 높다. 충남은 19.1%로 가장 낮았다.
더 큰 문제는 막히거나 갈라지고 깨져 누수가 발생하는 등 제 기능을 못하는 하수관로가 얼마나 되는지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지자체가 해마다 하수관로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나 관로가 길고 지하에 매설돼 있어 정밀조사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30여년 전에 하수관으로 많이 쓰인 흄관은 내구성이 떨어져 교체가 필요하지만 아직도 전국에 3085㎞나 깔려있다. 기존에 매설된 PC관(602㎞), VR관(321㎞), PVC관(1266㎞) 등도 최근 누수율이 낮은 PE관(4144㎞)으로 교체되는 추세다.
전북도의 경우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 동안 3959㎞의 노후 하수관로 정밀조사 사업을 실시해 2028년까지 311㎞를 정비할 계획을 수립했지만 추진율은 매우 낮다. 현재까지 16%, 49.8㎞의 정비가 이뤄졌을 뿐이다.
집중호우가 내린 지난 10일 군산시 구암동 등 시가지 일대가 침수된 것도 부실한 하수시설이 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전북도 관계자는 “노후된 하수관 때문에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고 지하수가 오염되지만 누수율은 짐작조차 하기 어렵다”면서 “오래된 하수관거는 관이 어디에 있는지 알려주는 관망도가 없어 실태조사와 정비사업을 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털어놨다.
전주 임송학 기자
2024-07-18 2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