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 레미콘 부지 천지개벽 시동…한국판 실리콘밸리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교통·교육·설계 삼박자 척척…‘위파크 마륵공원’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이대 앞 상권 업종 제한 사실상 폐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진, 옥탑방·고시원 거주 취약층에 상세주소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1113가구 정확한 위치 파악 가능
위기 대상자 촘촘하게 복지 지원


김경호(왼쪽) 서울 광진구청장이 취약계층 돌봄 가구를 방문하고 있다.
광진구 제공

서울 광진구가 옥탑방과 고시원 등에 거주해 정확한 주소 파악이 어려운 취약계층 1113가구에 상세주소를 부여했다고 15일 밝혔다.

상세주소란 도로명주소 건물번호 뒤에 표기하는 동·층·호로, 구체적인 거주 장소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한다. 취약계층 밀집 시설인 다가구주택과 고시원 등 비정형 임시거주시설은 일반적으로 상세주소가 부여돼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정확한 위치 정보를 알 수 없어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고 복지 사각지대 발굴 시스템상 포착되지 않아 위기 신호를 놓치기 쉽다.

이에 구는 위기가구 찾기의 주요 정보인 상세주소를 부여하고자 곧바로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다. 현장 조사를 한 뒤 총 1113가구에 상세주소를 부여했다. 이로써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해져 위기 대상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구는 상세주소가 부여된 1113가구를 대상으로 위기가구 발굴에 나서기도 했다. 담당 부서와 복지플래너, 공인중개사 등 315명으로 구성된 ‘인적 안전망’이 긴밀하게 협력해 위기 신호가 감지된 196가구를 새롭게 찾아냈다.

김경호 광진구청장은 “숨어 있는 위기 신호를 더욱 샅샅이 살펴 빈틈없이 촘촘한 복지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장진복 기자
2023-03-16 14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종로 “모바일로 쉽게 저탄소 생활 실천”

‘모여서 넷제로’ 앱 개발·운영 각종 챌린지로 상품권 추첨

강동, 깡통전세 피해 예방 센터 운영

계약 체크리스트 등 정보 안내 작년부터 부동산 상담제 운영 온오프라인 법률 서비스 제공

성동 “느린 학습자도 마음껏 독서”

장애인 특화 ‘와글와글 도서관’ 온돌바닥 설치… 자유롭게 이용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